[교육정보] [증,고등] 고1, 2라면 선택과목 결정은 여름방학까지 필수

1학기가 마무리되어가면서, 많은 고등학교에서 고1~2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택과목에 대한 사전수요조사를 진행 중이거나 마쳤을 것이다. 아직 과목을 확정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2학기가 되면 대부분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늦어도 여름방학까지는 고민을 끝내는 것이 좋다. 과목 선택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위해 선택과목을 정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선택과목, 왜 중요한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스스로 선택하여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학습 기회를 보장하고 학생 성장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고자 함이다. 하지만 대입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과목만 수강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대표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준비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대학에서는 지원 전공(계열)과 관련하여 학생이 어떤 과목을 이수했는지, 그리고 해당 과목의 성취도와 세특 내용이 어떠한지를 유심히 살펴본다.


또한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성균관대 등 일부 대학들은 교과전형에서도 서류(학생부) 및 교과 영역에 대한 정성평가를 실시한다. 이처럼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어떤 교과활동을 수행했느냐에 따라 대입에서의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과목 선택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까

1) 관심 있는 분야와 연계된 과목

가장 좋은 것은 당연히 관심 분야와 관련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면서 진로와 연관되는 과목은 즐겁게 공부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좋은 성취도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전공이 특정 과목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진로를 정했음에도 과목 선택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럴 때 대학이나 교육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참고할 수 있다.


일례로 서울대학교는 모집요강이나 전형계획을 통해 전공에 따른 교과이수 권장과목을 제시하고 있다. 교과이수 권장과목은 해당 전공을 공부하기 위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기를 추천하는 과목이며, 이 중 ‘핵심 권장과목’은 필수적으로 이수할 것을 권장한다.


■ 서울대 전공 연계 교과이수 과목 중 일부


 

∙ 핵심 권장과목: 학과(부)에서 공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

∙ 권장과목: 학과(부)에서 공부하기 위해 이수를 권장하는 과목

*출처: 서울대학교 2025학년도 대학 신입학생 입학전형 시행계획


물론 서울대에서 제시한 전공 연계 교과이수 과목을 이수하지 않았다고 해서 지원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서울대의 권장과목이 모든 대학에 적용되는 것도 아니다. 단지 위 자료를 통해 해당 학과에서 어떤 역량을 필요로 하는지를 참고할 수 있다.


서울대 외에도 경희대·고려대·성균관대·연세대·중앙대가 공동연구를 통해 대학 자연계열 전공 학문 분야의 교과 이수 권장과목을 안내하고 있으며, 숭실대는 ‘전공안내 웹진’을 통해 학과별 선택교과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다만, 대학에서 제시하는 선택 과목 가이드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해당 가이드에 따라 교과목을 이수했다는 사실만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니 이는 꼭 참고하도록 하자.


교육부에서는 ‘학생 진로∙진학과 연계한 과목 선택 가이드북’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교과목의 내용과 성격,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을 비롯한 여러 시∙도 교육청에서도 선택과목 및 전공 안내서를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2)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과목

서울대는 인문∙사회계열 모집단위 중 경제학부에만 권장과목을 지정했을 뿐, 나머지 모집단위는 학생의 적성과 진로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과목을 선택하여 학습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자연계열 중 치의학과에는 어떠한 권장과목도 지정하지 않았다.


이처럼 대학의 모든 전공들이 특정 과목 이수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진로를 아직 정하지 못한 학생들도 많고, 대부분의 교과전형이나 정시(수능위주)처럼 성적으로만 정량평가하는 전형을 고려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이유들로, 과목 선택의 기준을 ‘적성이나 진로’보다는 ‘성적’에 두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성적에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려는 경우, 어떤 점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까?


① 많은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다는 것은 그만큼 일반적인 과목이라고 볼 수 있다. 연계할 수 있는 분야가 많고, 교과목의 난도도 크게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회 교과 중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와 같은 과목은 비교적 수강 인원도 많고, 어느 전공을 선택하든 연결고리를 찾기 어렵지 않다.


② 3학년 선택과목은 전략적 판단 필요

성적에만 초점을 둔다면, 3학년 선택과목은 일반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의 비중을 전략적으로 따져보는 것이 필요하다. 조금이라도 내신등급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라면 비교적 수강인원이 많은 일반선택과목을 선택하여 내신을 끌어올리는 전략이 필요하다.


반면 그동안의 내신성적이 충분히 만족스럽다면, 3학년 때는 성적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진로선택과목의 비중을 높이고 수능이나 비교과 등을 집중적으로 준비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③ 수능과의 연계 고려

정시를 고려하는 학생은 물론이고, 수시 전형 위주로만 준비한다고 해도 수능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국어, 수학, 탐구 등 수능과 연계되는 교과에서는 수능에서 치르려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수능 국어를 ‘언어와 매체’ 과목으로 응시하려는 학생은 내신과목도 동일하게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다른 예로 사회탐구의 경우, 수능에서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은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 순이다. 사회 교과의 경우 수시에서도 전공에 따른 과목 영향이 적기 때문에 수능과 동일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2학기가 시작되면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과목 선택을 마무리 지으려 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여름방학 내에 선택과목에 대한 고민을 끝내는 것이 좋다.”며, “내신성적, 대입 준비 전형 등 각자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남들 따라 선택하는 것보다는 자신에게 조금 더 유리한 방향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 선택할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출처 : 에듀진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230

1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커뮤니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334 자유게시판 4색볼펜으로만 그린 그림 ㄷㄷㄷ +6 다다 07-14 5,755
1333 자유게시판 주인이 스케이트 보드 연습하길래 보드를 스틸 해버렸다 ㅎㅎ +3 바람의자식 07-12 4,490
1332 자유게시판 응??? 왜 밀대 걸레가 뛰어오냐??? +3 바람의자식 07-12 4,592
1331 자유게시판 오늘이 우리집 고양이 생일인 줄 모르고 급하게 차렸는데?? +3 바람의자식 07-12 4,348
1330 자유게시판 여러분 여름철에 계곡 가시면 수박을 계곡물에 넣지 말아요!!!! +3 우짤래미 07-11 4,489
1329 자유게시판 안돼;;; 그거 지지야 지지 핥지마~~~~ +3 우짤래미 07-11 4,132
1328 자유게시판 안 갈꾸야 ㅠㅠㅠ 주인 곁에 있을래~~~ +3 우짤래미 07-11 4,087
1327 자유게시판 응??? 쿠션이 어떻게 날라온거지??? +1 우짤래미 07-11 4,402
1326 자유게시판 주인님 왜 도망 가세요??? +2 쿤루 07-11 4,457
1325 자유게시판 고양이 몰래 싸우는 GIF 편집 영상 +2 쿤루 07-11 4,318
1324 자유게시판 물 그릇의 간식 모양의 그림을 간식으로 착각하는 댕댕이 +2 쿤루 07-11 4,178
1323 자유게시판 댕댕이의 서커스 +2 쿤루 07-11 4,046
1322 자유게시판 주인이 너무 좋았던 나머지 part 2 +2 바람의자식 07-11 4,257
1321 자유게시판 주인이 너무 좋았던 나머지 part 1 +2 바람의자식 07-11 4,289
1320 자유게시판 뭔가 굴러 훈련을 잘못 배운 것 같다 ㅋㅋㅋㅋ +2 바람의자식 07-11 4,148
1319 자유게시판 텐트 문이 잠긴 줄도 몰랐던 골댕이 +3 쿤루 07-10 4,203
1318 자유게시판 잠 깬 고양이 +3 쿤루 07-10 4,254
1317 자유게시판 어우 놀래라;;;; +2 쿤루 07-10 4,193
1316 자유게시판 가서 도둑 물어와!!! +2 바람의자식 07-10 4,043
1315 자유게시판 햄스터가 너무 좋았던 소녀는?? +2 바람의자식 07-10 4,531
1314 자유게시판 아니;;; 의자야 그만 좀 돌아ㅠㅠ +2 바람의자식 07-10 4,413
1313 자유게시판 청둥오리랑 눈싸움 하면 안되는 이유 +2 우짤래미 07-07 4,856
1312 자유게시판 사신 탈을 쓴 양이 양 우리에 들어가면??? +2 우짤래미 07-07 4,679
1311 자유게시판 그만 좀 물 뿌려라;;; +1 우짤래미 07-07 4,882
1310 자유게시판 사람과 동물간의 눈치싸움 +2 쿤루 07-07 4,921
1309 자유게시판 환자가 발작을 일으키시길래 새끼 고양이들이 들어있는 박스를 환자에게 부었더니?? +2 쿤루 07-07 5,683
1308 자유게시판 댕댕이들의 줄넘기 실력 +2 쿤루 07-07 5,615
1307 자유게시판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괴상하게 생긴 생물들 +2 바람의자식 07-07 5,819
1306 자유게시판 댕댕이 꼬리를 잡고 돌렸더니?? 돌아버렸다 +1 바람의자식 07-07 5,861
1305 자유게시판 아니!!! 선빵이 필승이라매???? +1 바람의자식 07-07 5,870
+
MEMBER LOGIN